뉴스 생산(제작)에서의 프레이밍 구축과 프레이밍 세팅에 대한 연구 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Generic frames, Issue-specific frames 라는 두 종류의 뉴스에서의 프레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읽은 날짜 2023.09.08
카테고리 #news, #Journalism, #FramingTheory
News framing: Theory and typology
- Authors: Claes H. Vreese
- DOI: https://doi.org/10.1075/idjdd.13.1.06vre
- Keywords: media analysis, news framing, framing typology, cross-national news analysis
- Issue Date: Jan 2005
- Publisher: Information Design Journal
ABSTRACT
배경 > 문제점 > 목표(RQ) > 방법 > 평가 > 결과 > 의의
배경/문제점: 미디어 분석에서 프레이밍 컨셉(framing concept)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 것의 적용에 있어서는 매우 일관되지 못하다.
목표: 생산, 콘텐츠 내용, 미디어 사용(production, content, media use)의 관점을 포함한 프레이밍에 대하여 통합된 과정의 모델(integrated process model)을 설명한다.
방법: 미디어 프레임들(media frames)에 대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일반적인 프레임 (Generic)과 이슈 특화된 프레임(Issue-specific frames) 이라는 분류(typology)를 제안한다.
예제로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들이 어떻게 식별되고, 뉴스 보도(news coverage) 에서 국가간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제시한다.
현재의 프레이밍 연구에서 contentious issues(논쟁의 여지가 있는 이슈)를 식별하는 것으로 눈문을 마무리한다.
1. INTRODUCTION
■ '프레이밍' 개념
미디어가 공공의 의견을 생성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사건과 이슈를 특정 방식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이다.
프레이밍은 커뮤니케이션 소스를 제시하고, 이슈를 정의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레이밍의 개념은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미디어와 대중의 의견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서, 커뮤니케이션 분야(=언론정보학 분야) 에서 추진력을 얻었다.
■ '프레이밍' 용어 사용의 비일관성 문제
대부분의 이전 연구에서는 컨텐츠(예: 뉴스에서의 프레임) 또는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s) 둘 다에 초점을 맞추었다.
■ 이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프레임에 대해 인지하는 것은 언제/어떻게 다른 프레임이 효과적일지 이해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프레이밍'을 어떠한 '과정' 으로 정의하고, 생산, 컨텐츠, 그리고 미디어 사용의 관점에서 통합된 과정의 모델(integrated process model)을 설명한다.
■ '일반적인(Generic)' vs'이슈 특화의(Issue-specific)' 뉴스 프레임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선행 연구 리뷰를 기반으로 '일반적인(Generic)' 뉴스 프레임과 '이슈 특화의(Issue-specific)' 뉴스 프레임 용어를 제안한다.
■ 사례 연구(case study)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이 뉴스 보도(news coverage)의 국가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사례
사례 연구를 통해 프레이밍이 미디어 컨텐츠를 연구하기 위한 툴로써 어떻게 사용될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2. Framing as a process
■ 프레이밍은 다이나믹한 과정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정적인(static) 것이 아니고, 오히려 다이나믹한 과정에 가깝다.
프레임 구축(frame-building) : 어떻게 프레임이 생겨나는가
프레임 세팅(frame-setting) : 미디어 프레임과 청중 성향(predispositions) 사이의 상호작용
Entman(1993)에 의하면, 프레임은 커뮤니케이터, 텍스트, 수신자, 문화를 포함하는 여러 입지(location)을 갖고 있다.
이런 컴포넌트들은 각 다른 단계(프레임 구축, 프레임 설정, 개인 및 사회 수준에서의 프레이밍 결과)에서의 프레이밍 프로세스를 위해 필수적(integral to)이다.
■ 프레임 구축 (Frame-building)
프레임 구축은 뉴스 프레임의 구조적인 특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의미한다.
저널리즘의 내부 요인들이 저널리스트와 뉴스 기관에서 이슈를 프레이밍하는지 결정한다.
하지만, 저널리즘 외부 요소 또한 마찬가지로 동등하게 중요하다.
프레임 구축은 저널리스트와 엘리트 사이에 지속되는 상호작용 및 사회적인 운동으로 발생한다.
프레임 구축의 결과로 텍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프레임이 도줄된다.
■ 프레임 구축 (Frame-setting)
프레임 세팅은 미디어 프레임과 개인의 사전 지식 및 성향 사이에서 인터랙션을 의미한다.
뉴스의 프레임은 이슈와 사건에 대한 배움, 해석 및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프레이밍 과정의 이러한 부분은 가장 정교하게 조사되었다. 예를 들어, 이런 연구는 종종 어떤 상황에서 청중이 반응하고, 상황에서 가능한 프레임을 뉴스에 적용하는지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프레이밍의 결과는 개인적, 사회적 수준에서 고려(conceived)될 수 있다.
개인적인 수준에서 프레이밍 결과 - 프레임에 노출된 정도에 기반하여 이슈에 대한 태도가 변경될 수 있다.
사회적인 수준에서 프레이밍 결과 - 사회적 수준의 프로세스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사회적 수준의 프로세서 => 정치적 사회화(political socialization), 의사 결정(decision making), 집단적 행동(collective actions)
■ 프레이밍 프로세스에서 프레임들은 독립 변수(Independent variables, IV) 또는 종속 변수(Dependent variables, DV)가 될 수 있다.
예1) 미디어 프레임은 종속 변수로 연구 될 수 있으며,
미디어 프레임을 생산하는 프로세스의 결과는 단체의 압력, 저널리즘 루틴, 엘리트의 담론을 포함한다.
예2) 미디어 프레임은 또한 청중의 해석에 대한 선행 요소이므로, 독립 변수로 연구될 수 있다.
■ 프레이밍의 통합 프로세스 모델 (An Integrated Process model of framing)
향후 연구는 뉴스 생산(뉴스 제작)을 컨텐츠(프레임 구축) 또는 컨텐츠 사용 및 효과(프레임 세팅) 같은 내용과 연결지어 수행될 수 있다.
프레임의 뉴스 생산과 프레임 효과 사이의 연결(link)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프레임의 '일반인적인' 특성(layman nature)으로 인해, 실제 뉴스에서 해당 프레임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증거나 토론 없이 그저 그 프레임이 매력적이라고만 판단하는 연구가 늘어나는 것(proliferation of studies)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연구의 함정(pitfall)은 프레임이 실제로 저널리즘 실무 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것인지 여부를 추론할 수 없다는 것이다.
3. Frames in the news: Broad and narrow definitions
3.1 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3.1.1 sub-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3.1.2 sub-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3.2 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4. Identifying frames in the news
■ 아이템
설명
설명
4.1 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4.1.1 sub-subtitle
■ 아이템
설명
설명
5. A typology of news frames
-
5.1 Issue-specific news frames
■ 이슈별 뉴스 프레임 연구 사례
(1) 미국 국가 예산 적자에 대한 대중의 인식 연구
- Jasperson et al., (1998)
- 미국의 여러 주요 신문의 내용 분석
- 식별된 프레임: '대화', '싸움', '교착', '위기'로 분류
(2) 클린턴 대통령 임기 말기에 뉴스에서 발견되는 프레임 연구
- 예) Shah et al.,(2002)
- 클린턴 대통령 임기 말기에 뉴스에서 반복되는 세 가지 프레임을 확인
- 식별된 프레임: '클린턴 행동 스캔들', '보수 공격 스캔들', '자유주의 대응 스캔들'
5.2 Generic news frames
■ 일반적 뉴스 프레임 연구 사례
(1) 선거 캠페인에 대한 보도 연구 - 전략적으로 구성된 뉴스 프레임이 정치적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 Cappella and Jamieson (1996, 1997)
- 전략적 뉴스(strategic news)의 특징 (Jamieson, 1992)
(1) 승패(winning and losing)에 초점을 맞추고,
(2) 전쟁, 게임, 경쟁의 언어를 포함하며,
(3) '출연자(performers), 비평가(critics), 청중(audiences)'을 포함하고,
(4) 후보자의 스타일(candidate style)과 인식(perceptions)에 초점을 맞추고,
(5) 여론조사(polls) 및 후보자 순위(candidate stadings)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뉴스로 정의된다.
- 전략적 뉴스의 특징 (Cappella and Jamieson (1996, 1997))
- 전략 뉴스는 선거 캠페인뿐만 아니라 정책 이슈(policy issues)에 대한 미국 뉴스 보도에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 승패와 여론조사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선거 뉴스에서 '게임 스키마'를 사용한다는 패터슨(1993)의 논의와 매우 유사하다.
- 게임이란 선거 전략과 (선거 성공에 대한) 예측을 의미하며, 선거 경쟁에서 후보자의 위치를 강조합니다.
패터슨(1993)은 1960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 선거 관련 언론 보도에서 게임 또는 경마 프레임의 사용이 역사적으로 증가했다는 증거를 제시합니다.
(2) 저널리즘의 관습에 내재된 구조적이고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에 초점을 맞춘 연구
- 뉴스 프레임을 저널리즘 관습(journalistic conventions), 규범(norms) 및 뉴스 가치(news values)와 같은 뉴스 보도의 보다 일반적인 특징(general features)과 연결
-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빈곤, 범죄, 실업과 같은 사회적 이슈에 대한 미국 네트워크 보도를 분석한 Iyengar(1991)는 일간 뉴스 보도가 사회 문제를 사건으로만 한정하고 더 넓은 해석이나 맥락(주제 프레임)에 배치하지 않는 에피소드적 해석에 강하게 편향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 Iyengar (1991)는 뉴스 조직과 뉴스 제작의 규범과 기준이 에피소드적 프레임을 강화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그의 관행은 '복잡한 이슈를 일화적 증거 수준으로 단순화'(Iyengar, 1991, 136-137쪽)하고 공공 문제와 사회 문제에 대한 일반적이고 맥락적인 이해가 아닌 국소적이고 무질서하며 고립된 이해를 유도합니다.
노이만 외(1992)는 시사 문제를 논의할 때 청중이 사용하는 프레임을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청중 인터뷰를 통해 추론한 프레임이 일련의 시사 이슈에 대한 뉴스 미디어 보도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의 탐색 연구에서 그들은 '인간 영향(human impact)', '무력감(powerlessness)', '경제(economics)', '도덕적 가치(moral values)', '갈등(conflict)'을 미디어와 청중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프레임으로 확인했습니다.
- 인간 영향 프레임은 이슈의 영향을 받는 개인과 집단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무력감 프레임은 '약한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힘의 우위'(1992, 67쪽), 경제 프레임은 '이익과 손실이라는 '최종선'에 집착하는'(1992, 63쪽) 것을 반영합니다.
- 도덕적 가치 프레임은 특정 인용문이나 추론 등을 통해 도덕과 사회적 규범을 간접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말한다.
- 갈등 프레임은 상충되는 해석의 기사를 보도하는 저널리즘 관행을 말하며, 이는 뉴스 미디어의 '정치 세계를 새로운 승자와 패자가 계속되는 일련의 경쟁으로 해석하는 게임'(1992, 64쪽)과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프레임은 다양한 이슈와 관련하여 발견되었으며, 이는 프레임이 이슈별 뉴스 프레임보다 더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세메트코와 발켄버그(2000)는 '갈등(conflict)', '인간적 관심(human interest)', '책임 귀속(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도덕성(morality)', '경제적 결과(economic consequences)'의 다섯 가지 뉴스 프레임을 확인했습니다.
- 갈등 프레임은 개인, 집단, 기관 또는 국가 간의 갈등을 강조합니다.
- 인간적 관심 프레임은 사건, 이슈 또는 문제를 제시할 때 인간의 얼굴, 개인의 이야기 또는 감정적 관점을 제공합니다.
- 책임 프레임은 이슈나 문제를 정부나 개인 또는 집단에 원인이나 해결의 책임을 돌리는 방식으로 제시합니다.
- 도덕성 프레임은 종교적 교리 또는 도덕적 처방의 맥락에서 사건이나 문제를 해석합니다.
- 마지막으로 경제적 결과 프레임은 사건, 문제 또는 이슈를 개인, 그룹, 기관, 지역 또는 국가에 미칠 경제적 결과의 관점에서 제시합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국내 인쇄 및 텔레비전 뉴스를 분석한 결과, 책임 귀속 프레임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다음으로 갈등 및 경제적 결과 프레임이 뒤를 이었습니다(Semetko & Valkenburg, 2000).
이러한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은 저널리즘 관습과 관련이 있으며 유럽 정부 수반의 EU 정상 회담 및 범죄와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보도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의 일반적 특성은 아직 국가 간 비교 환경에서 테스트되어 국경을 넘어서는 프레임의 일반성을 확립하지 못했습니다.
일반적인 뉴스 프레임에 대한 연구를 국가 간 비교 환경으로 확장하기 위해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의 텔레비전 뉴스에서 갈등 및 경제적 결과 프레임의 사용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1999년 1월 유로화 도입 1단계 기간과 일상적인 기간 동안 뉴스에서 갈등과 경제적 결과 프레임이 어느 정도 사용되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는 세 나라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방송사(영국의 BBC와 ITV, 네덜란드의 NOS와 RTL, 덴마크의 DR1과 TV2)의 저녁 뉴스를 10일 동안 분석했으며, 표본은 도입 전후 이벤트 기간과 일상 기간으로 구성했습니다.1 유럽 통합에 대한 저널리즘 문화와 여론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사례 선정은 신중하게 이루어졌습니다.
갈등 프레임은 '뉴스 기사가 정당/개인/집단/국가 간의 이견을 반영하고 있는가'와 같은 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경제적 결과 프레임은 '비용에 대한 언급이 있는가/비용의 정도가 있는가'와 같은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3 유로 도입에 대한 모든 뉴스 기사와 기타 모든 정치 및 경제 뉴스에 대해 모든 항목은 예(1) 또는 아니오(0)로 응답하도록 했습니다. 각 항목의 점수를 더하고 이를 관련 항목의 수로 나누어 척도를 구성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척도의 범위는 0에서 1까지였으며, 프레임의 존재 여부를 측정하는 척도의 내적 일관성(크론바흐의 α)은 .57에서 .77.4까지였습니다.
5.3 Generic frames and local spins
■ 아이템
설명
설명
뉴스에서 갈등과 경제적 결과 프레임의 상대적 강조도를 조사한 결과, 3개국 모두 정치/경제 뉴스 기사에서 갈등이 경제적 결과보다 더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표 2 참조). 유로화 도입에 관한 기사를 살펴보면 정반대의 패턴이 나타났는데, 이 기사에서는 갈등이 경제적 결과보다 덜 중요했습니다.
6. DISCUSSION
■ 아이템
설명
설명
그의 논문은 뉴스의 프레임에 초점을 맞춘 이전 연구를 종합했습니다. 그는 이전 연구의 다양한 운영 및 방법론적 특징으로 인해 이 분야가 이질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프레임의 유형론을 개발하고 일반적인 프레임의 예를 논의했습니다. 현재 프레임 연구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이슈는 프레임의 속성과 특성을 다루는 것입니다. 기존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건과 이슈에 대한 미디어 프레이밍을 논의하면서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루지 않았습니다. 일부 이슈의 경우 미디어가 유도하는 정보가 개인적 자원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Gamson, 1996). 그는 이슈의 특성이 프레이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프레임의 작동과 측정에는 정밀성이 요구됩니다. Neuman 등(1992)의 연구는 프레임 개념을 더 넓은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사건을 저널리즘적으로 포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뉴스를 해석하려는 시도의 일부로 언급합니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뉴스에서 다양한 이슈의 프레임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된 측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아이엥가(1991, 145쪽)는 "주제나 에피소드에 국한된 뉴스는 거의 없다"며 뉴스 기사가 어느 한 프레임의 방향으로 '분명하게 기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또한 콘텐츠 분석은 밴더빌트 초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미디어 콘텐츠의 미묘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콘텐츠 분석에 밴더빌트 아카이브를 활용하는 것은 깊이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Althaus, Edy, & Phalen, 2001).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프레임의 특성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리뷰에서 제안한 광의의 개념화와 협의의 개념화, 이슈별 프레임과 일반 프레임 사이의 유형화는 프레임의 성격을 설명할 때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론에 대한 기여와 미디어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의 프레임 연구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그의 경험적 기여는 번성하고 있으며, 그 결과 연구 결과와 이론의 발전 측면에서 이질성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그의 논문은 프레이밍되는 주제와 논의되는 프레임의 유형(이슈별 프레임과 일반 프레임)의 차이를 설명했습니다. 그의 논문은 기존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에서 다뤄야 할 논쟁적인 이슈를 식별하려는 첫 번째 시도입니다. 연구 패러다임은 여전히 부상 중이지만 프레이밍 연구는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의제에 자리 잡았습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단순히 개념의 존재를 입증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됩니다.
이 개념을 실행 가능한 연구 방법으로 전환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프레임이 출현하는 조건과 여론 형성에서 프레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구체화해야 합니다.
7. CONCLUSION
- 중요한 결론 -
- 이론적 함의 -
- 실재적 함의 (practical implications) -
- Future work
- (1)
- (2)
나의 의견
논문을 선택한 이유
(1) 뉴스를 바라보는 관점 (perspective)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찾다가, 문득 미디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의 framing theory 에 관심이 있어 찾아보게 되었다.
읽고 난 후 의견
- 뉴스의 aspect나 view point (또는 point of view)에 대해 조사한 적이 있었는데, 엄청나게 많은 내용이 나와서 연구에서 다루기 힘들겠다고 생각했었다. 당시에 framing이란 키워드를 알았다면 좋았을 텐데 아쉽지만, 이제라도 알아서 다행이다.
- 내가 원하던 내용의 연구라서 재밌게 읽었다. 관련 연구의 후속 내용이나 비슷한 연구를 더 찾아봐야겠다.